좇다와 쫓다 구분하는 방법에 대한 설명입니다.
('좇다'와 '쫓다' 쉽게 구분해 사용하는 방법)
일상생활에서 많이 사용하는 말 중에서 '좇다'와 '쫓다'는 헷갈리기 쉬워서 잘못사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.
'좇다'와 '쫓다'는 비슷한 말처럼 생각하기 쉽지만 사실 그 뜻은 전혀 달라 구분해서 사용해야 합니다.
어떤 경우에 '좇다'와 '쫓다'를 사용하는 것이 올바른 사용방법인지 소개하겠습니다.
좇다 / 쫓다 구별해서 사용하기
'좇다'는 '행복이나 꿈, 목표 등을 추구하다'라는 뜻을 지니고 있습니다.
즉 '좇다'는 보이지 않는 추상적인 목표를 이루기 위함을 표현하는 말입니다.
'쫓다'는 '어떤 사람이나 대상을 잡거나 만나기 위해 뒤따르다'라는 뜻을 지니고 있습니다.
즉 '쫓다'는 추상적이지 않고 구체적인 대상이나 목표물을 따라갈 때 이를 표현하는 말입니다.
1. 좇다 : 행복, 꿈, 목표 등을 추구하다.
- 예시 : * 철수는 돈보다는 명예를 좇아 교수가 되었다.
* 영희는 자신의 꿈을 좇아 배우가 되었다.
* 그는 성공을 좇아 열심히 공부한다.
2. 쫓다 : 어떤 대상을 잡거나 만나기 위해 뒤따르다.
- 예시 : * 경찰이 도둑을 쫓아가서 잡았다.
* 아이가 엄마 뒤를 쫓아갔다.
* 축구선수가 공을 쫓아 뛰었다.
* 사냥개가 토끼를 쫓아갔다.
'좇다'와 '쫓다' 구별하는 방법으로 바른 국어표기법(맞춤법) 사용에 도움이 되면 좋겠습니다.
* 같이 보면 좋은 글입니다.
바치다 / 받치다 구분하기
'바치다 / 받치다' 구분하는 방법 소개글입니다. 한글은 과학적인 글자로 배우기 쉽지만 높임말이나 글씨를 쓸 때 헷갈리기 쉬운 단어도 많습니다. '바치다 / 받치다'도 비슷한 소리가 나서 글씨
goldyojung1.tistory.com
되 / 돼 구분하기 ('되'와 '돼' 쉽게 구분하는 방법)
되 / 돼 구분하는 방법에 대한 설명입니다. ('되'와 '돼' 쉽게 구분하는 방법)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많이 사용하는 되/돼는 글씨를 쓸 때 헷갈리기 쉽습니다. '되'와 '돼' 는 사실 같은 뜻을 지니고
goldyojung1.tistory.com
070전화, 국제전화, 스팸문자 차단 방법 (0) | 2024.02.18 |
---|---|
'스팸(Spam)'과 '스팸메일(Spam mail)' 유래 (0) | 2024.02.17 |
되 / 돼 구분하기 ('되'와 '돼' 쉽게 구분하는 방법) (0) | 2024.02.15 |
컴퓨터 에러는 왜 '버그(Bug)'로 불릴까요? (0) | 2024.02.14 |
댓글 영역